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203

방화 구획 설치 기준 [피난 방화규칙 제 14조] 방화구획을 설정을 했으면 설치도 하여야 한다. 아직 모르겠다면 아래 링크 참고 방화구획 설치 방화구획 적용대상 구획 기준 등 방화구획 설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방화구획은 아래 적용대상에 따라 설치 (1) 면적별/층별 구획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 bestsafety.tistory.com 어떤 구조로 어떻게 설치해야하는지 알아보자 (1) 구획 부분의 구조 내화구조의 바닥, 벽, 갑종방화문, 자동방화셔터로 구획 할 것. (방화구획을 했다면 구획한 대로 벽/갑종방화문/자동방화셔터 등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구획 되도록 해야 한다). (2) 관통부 충전 - 방화 구획 간에 전선 케이블 등 관통부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곳은 아래와 같이 충전하여야 한다. 외벽과 바닥 사이에 .. 2021. 1. 7.
위험물안전관리법 제19조 - 자체소방대 대상 및 설치 기준 1. 위험물 안전관리법 제 19조 - 자체소방대 다량의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제조소등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등이 있는 동일한 사업소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경우 당해 사업소 관계인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업소에 자체소방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가 굉장히 많다. 여기서 말하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는 아래와 같다. 2. 위험물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18조 (자체소방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사업소) 1.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 -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의 합이 지정수량의 3천배 이상인 경우. 다만, 보일러로 위험물을 소비하는 일반취급소 등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일반취급소는.. 2021. 1. 6.
중대재해/중대산업사고/중대산업재해/중대시민재해 정의 안내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에 나오는 정의를 정리하였습니다. 햇갈릴수 있지만 이번 기회에 한번 읽어보시기 바라며, 사업장에 아래 정의와 같은 사고가 나지 않기를 기도하겠습니다. 제 블로그에 많은 정보가 있으니, 읽어보시고 사업장의 안전보건조치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중대재해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조 중대재해의 범위에 따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정의에 따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 및 [중대시민재해] 를 의미합니다. 2. 중대산업사고 .. 2021. 1. 6.
방화구획 설치, 구획 기준, 적용제외 또는 완화 대상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방화구획 적용대상 구획 기준 등 방화구획 설치 기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방화구획은 아래 적용대상에 따라 설치 (1) 면적별/층별 구획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 1,000m2 를 초과하는 건물 (2) 용도별 구획 : 주요구조부의 내화구조 대상 건물 2. 구획 기준 구획 기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획 종류 구획단위 구획부분의 구조 면적별구획 10층 이하의 층 바닥면적 1,000m2 (3,000m2) 내화구조의 바닥/벽 갑종방화문 자동방화셔터(국토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것) 11층 이상의 층 일반내장재 : 바닥면적 200m2(600m2) 불연내장재 : 바닥면적 500m2(1,500m2) 층별구획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 2021. 1. 5.
용어의 정의 -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그림 포함) 목조건축물에 대한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에 대한 용어관련하여 관련 사진이 있어가져왔습니다. 누군가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들며, 업무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2조 (대규모 목조건축물의 외벽등) 연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목조건축물은 그 외벽 및 처마밑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방화구조로 하되, 그 지붕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2. 정의 -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인접대지경계선 도로중심선 또는 동일한 대지 안에 잇는 2동 이상의 건축물 (연면적의 합계가 500m2 이하인 건축물은 이를 하나의 건축물로 본다) 상호의 외벽간의 중심선으로부터 1층에 있어서는 3m 이내, 2층 이상에 있어서는 5m 이내의 거리에 있는 건축물의 각 .. 2021. 1. 5.
건축법 시행령 제 2조 - 내화 구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실시하여야하는 내화구조를 알기 전에 주요구조부의 정의를 알고 가야합니다. 주요구조부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은 우선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신 뒤 해당 글로 돌아와 보시는게 좋습니다. 용어의 정의 - 주요구조부 [건축법 제2조] 건축물에서 빠질 수 없는 주요구조부 1. 건출물의 주요구조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는 아래 6개 항목을 말한다. (1) 내력벽 (2) 기둥 (3) 바닥 (최하층 바닥은 제외) (4) 보 (5) 지붕틀 (6) 주계단 단, 사 bestsafety.tistory.com 1. 내화 구조 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입니다. 2. [주요구조부] 의 내화구조 대상 건축물 주요구조물의 내화구조 대상 건축물은 아래표와 같습니다. 용도 그 용도 위치 그 용.. 2021. 1. 5.
용어의 정의 - 주요구조부 [건축법 제2조]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건축법시행령에 따른 주요구조부가 무엇인지 알아야 주요구조부에 대한 조치를 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에 대한 정의 등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1. 건축물의 주요구조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는 아래 6개 항목을 말합니다. 주요구조물의 대부분은 하중을 견디야하는 구조입니다. 즉, 주요구조물이 무너지면 건물이 무너질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1) 내력벽 건축물에서 지붕의 무게나 위층 구조물의 무게를 견디어 내거나 힘을 전달하기 위해 만든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 공간을 수직으로 구획하는 벽을 말합니다. 단순히 칸을 막기 위해 블록이나 벽돌로 쌓은 벽과 구분을 하여야 합니다. (2) 기둥 (3) 바닥 (최하층 바닥은 제외) (4) 보 수직재의 기둥에 연결되어.. 2021. 1. 5.
산업안전보건법 - 방폭 구역 내 내화조치 안내 산업안전보건법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70조에 따르면, 가스폭발 위험 장소 또는 분진 폭발 위험장소에 설치되는 건축물 등에 대해서는 내화기준을 하여야한다. 여기서 말하는 가스폭발 위험 장소 및 분진 폭발 위험장소는 방폭구분도에 표기된 장소를 말한다. 내화 실시 대상은 아래와 같다. (1) 건축물의 기둥 및 보 : 지상 1층 (지상 1층의 높이가 6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6m) 까지 (2) 위험물 저장 취급 용기의 지지대 (높이가 30cm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 지상으로부터 지지대의 끝부분까지 (3) 배관 전선관 등의 지지대 : 지상으로부터 1단 (1단의 높이가 6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6m) 까지. 2. 주의사항 위 내용 중에서 2번항목과 3번항목을 잘 못 이해하여 법을 위반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2021.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