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172 위험물안전관리자의 보조자와 대리자 구분 안내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위험물안전관리자를 돕는 보조자와 대리자가 무엇인지 확인하시고, 용어를 잘못 이해하여 소방서 등의 점검 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니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1. 위험물안전관리 보조자의 근거위험물안전관리법 제15조 (위험물안전관리자) 8항 다수의 제조소등을 동일인이 설치한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관계인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1인의 안전관리자를 중복하여 선임할 수 있다 (주1).이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등(주2) 의 관계인은 제5항에 따른 대리자의 자격이 있는 자를 각 제조소등별로 지정하여 안전관리자를 보조하게 하여야 한다. 2. 위험물안전관리 대리자의 근거위험물안전관리법 제15조 (위험물안전관리자) 5.. 2021. 1. 14. 화재안전기준 (NFSC) 목록 및 파일 화재안전기준 NFSC 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번호 행정규칙명 NFSC 10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2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 스플이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A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B 화재조기진압용 스피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4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4A 미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5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6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7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7A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8 분말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9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1 비상경보.. 2021. 1. 14.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람이 있는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부 사람 대피를 위하여 화재가 번지는 속도를 줄일 수 있어야한다. 그러다보니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에 대하여 불연재료 등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도록 하자. 내부마감재료 내부마감재료란? 건축물 내부 천장/반장/벽(칸막이벽 포함) 기둥 등에 부착되는 마감재료 다음 용도의 건축물의 거실과 그 거실에서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계단 기타 통로의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다음 표에 정하는 것으로 할 것. (1) 내부마감재료 대상 - 거실 - 거실에서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계단/기타 통로의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 (2) 제외 대상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그 거실의 바닥면적 (.. 2021. 1. 14. 안전보건자료실 - 사고 발생 이론 (1)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사업장에서는 왜 사고가 날까? 가장 간단하면서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를 이론으로 만들었다는 것은 원인이 있다는 것이 확실합니다. 이에 대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작성한 글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사고는 어떻게 일어나는 걸까?2) 사고는 예방이 가능할까?1.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불안전한 상태가 있는 곳에 불안전한 행동이 발생하여 둘이 접촉하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2. 예시사고가 발생하기 직전에 무엇이 있었는지를 알면 사고가 왜 발생했는지 이해하기 쉽다. 자동차 사고를 예로 들어보자. 시속 80km 전용 도로에 어느 모닝이 시속 120km 로 달리고 있다. 이때, 신호가 파란불에서 빨간불로 바뀌기 직전이여서 속력을 더 냈다.. 2021. 1. 13. 상시근로자수 및 연인원 산정방법 안내 산업안전보건법/근로기준법에서 말하는 상시근로자 및 연인원 산정방법을 알아보자. 1. 상시근로자수 및 연인원 정의 상시근로자수란? 1개월 동안 사용한 근로자의 [연인원]을 같은 기간 중의 가동일수로 나누어 산정한 값. 연인원이란? 어떠한 일에 동원돈 인원수와 일수를 계산하여, 그 일이 하루에 완성되었다고 가정하고 일수를 인수로 환산한 총 인원수 예를들면, 5명이 10일 걸려서 완성한 일의 연인원은 50명이다 (5명X10일) 2. 상시근로자수 산정 방법 예시) 일별 근무 인원 및 가동 현황 일 월 화 수 목 금 토 미가동 / 5명 가동 / 10 가동 / 10 가동/ 12 가동 / 10 가동 / 15 미가동 / 5 미가동 / 4 가동 / 13 가동 / 14 가동 / 15 가동 / 12 가동 / 13 미가동 /.. 2021. 1. 13. 산업안전보건법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선임 대상 안내 안녕하십니까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안전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최상위 자리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가 있습니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운영을 하도록 하고있는데 어떤 사업장에서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하여야 하는지, 선임 대상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어떤 자료가 필요한지 적어봤습니다. 또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선임방법 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전 준비사항 (1) 사업자등록증 (2) 조직도 (명수 포함) (3) 예산 관련 전결권자 관련된 규정 (4) 한달 근무인원 및 가동일수 등 1.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사업주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에게 해당 사업장의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도.. 2021. 1. 13.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선량 한도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되었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선량한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1. 선량한도란?(1) 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과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합한 피폭방사선량의 상한값으로 원자력안전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값이다.(2) 매년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말한다.2. 선량한도 확인 - 방사선작업종사자원자력안전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라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선량한도는 아래와 같다.(1) 유효선량한도 : 연간 50 미리시버트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5년간 100미리시버트(2) 등가선량한도 - 수정체 : 연간 150미리시버트 - 손/발 및 피부 : 연간 500미리시버트 3. 선량한도의 측정 기준은?방사선작업종사자가 되기 위해 .. 2021. 1. 12. 방사선 작업 종사자가 되기 위한 과정 3가지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는 방사선 경계구역 내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방사선 작업 종사가자 되어야 합니다.방사선작업종사가 되기 위해선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알아봅시다. 1. 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선작업종사자는 방사선을 다루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일반인과는 다르게 방사선을 좀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대신에 법으로 관리를 해야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면 일반적으로 어떤 조치를 해야만 방사선 작업 종사들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1-1 건강검진우선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되기 전에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되어도 문제 없는지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그냥 건강검진이 아니라 특수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며, 유해인자는 [전리방사선] 을 받아야 한다. - 검진종류 : 특.. 2021. 1. 1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