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위험물안전관리법/소방 건축물 관리21

방화 구획 설치 기준 [피난 방화규칙 제 14조] 방화구획을 설정을 했으면 설치도 하여야 한다. 아직 모르겠다면 아래 링크 참고 방화구획 설치 방화구획 적용대상 구획 기준 등 방화구획 설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방화구획은 아래 적용대상에 따라 설치 (1) 면적별/층별 구획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 bestsafety.tistory.com 어떤 구조로 어떻게 설치해야하는지 알아보자 (1) 구획 부분의 구조 내화구조의 바닥, 벽, 갑종방화문, 자동방화셔터로 구획 할 것. (방화구획을 했다면 구획한 대로 벽/갑종방화문/자동방화셔터 등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구획 되도록 해야 한다). (2) 관통부 충전 - 방화 구획 간에 전선 케이블 등 관통부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곳은 아래와 같이 충전하여야 한다. 외벽과 바닥 사이에 .. 2021. 1. 7.
방화구획 설치, 구획 기준, 적용제외 또는 완화 대상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방화구획 적용대상 구획 기준 등 방화구획 설치 기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방화구획은 아래 적용대상에 따라 설치 (1) 면적별/층별 구획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 1,000m2 를 초과하는 건물 (2) 용도별 구획 : 주요구조부의 내화구조 대상 건물 2. 구획 기준 구획 기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획 종류 구획단위 구획부분의 구조 면적별구획 10층 이하의 층 바닥면적 1,000m2 (3,000m2) 내화구조의 바닥/벽 갑종방화문 자동방화셔터(국토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것) 11층 이상의 층 일반내장재 : 바닥면적 200m2(600m2) 불연내장재 : 바닥면적 500m2(1,500m2) 층별구획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 2021. 1. 5.
용어의 정의 -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그림 포함) 목조건축물에 대한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에 대한 용어관련하여 관련 사진이 있어가져왔습니다. 누군가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들며, 업무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2조 (대규모 목조건축물의 외벽등) 연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목조건축물은 그 외벽 및 처마밑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방화구조로 하되, 그 지붕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2. 정의 -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인접대지경계선 도로중심선 또는 동일한 대지 안에 잇는 2동 이상의 건축물 (연면적의 합계가 500m2 이하인 건축물은 이를 하나의 건축물로 본다) 상호의 외벽간의 중심선으로부터 1층에 있어서는 3m 이내, 2층 이상에 있어서는 5m 이내의 거리에 있는 건축물의 각 .. 2021. 1. 5.
건축법 시행령 제 2조 - 내화 구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실시하여야하는 내화구조를 알기 전에 주요구조부의 정의를 알고 가야합니다. 주요구조부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은 우선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신 뒤 해당 글로 돌아와 보시는게 좋습니다. 용어의 정의 - 주요구조부 [건축법 제2조] 건축물에서 빠질 수 없는 주요구조부 1. 건출물의 주요구조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는 아래 6개 항목을 말한다. (1) 내력벽 (2) 기둥 (3) 바닥 (최하층 바닥은 제외) (4) 보 (5) 지붕틀 (6) 주계단 단, 사 bestsafety.tistory.com 1. 내화 구조 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입니다. 2. [주요구조부] 의 내화구조 대상 건축물 주요구조물의 내화구조 대상 건축물은 아래표와 같습니다. 용도 그 용도 위치 그 용.. 2021.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