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산업안전보건법84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 개정 안내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현재 23년 4월 기준 사업장 위험성평가 고시 개정이 예정되어 있어 내용 분석 및 검토하여 공유해 드리오니 업무에 참고하여 미리 준비하시라고 해당 글을 적습니다. 1.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개정 안내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첨부된 사업장 위험성평가 고시 개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들어가는거 귀찮으니깐 제가 다운로드하여 공유해드리오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개정 내용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개정 내용 중 우리가 인지하여야 하는 사항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봤습니다. 2-1 사업장 위험성평가의 책임자의 명확화 사업장 위험성평가 총괄자를 사업주로 하여금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으로 지정하여.. 2023. 4. 5. 안전관리비 계상 및 안전관리비 가능 항목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건설업 현장 내에서 안전관리라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게 안전관리비 입니다. 돈도 돈이지만 안전관리비가 있어야 현장의 안전설비를 누락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꼭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우선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건설진흥법에 따른 안전관리비에 대해 구분해보시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1.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안전관리비의 구분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안전관리비가 내용과 목적이 다릅니다.이를 먼저 이해하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관리비에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1)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안전관리비- 건설기술진흥법 제63조(안전관리비.. 2023. 2. 15.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기준 변경 (22.06)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22년 6월에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개정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요 핵심 사항은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처가 늘어난 것입니다. 1.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시행 2022.06.02) 일단 개정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 기준은 아래 파일과 같습니다. 필요 시, 다운받아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내용 중 저는 증가된 사용처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2.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기준 용어의 변경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기준의 사용 주최는 "수급인 또는 자기 공사자" 였습니다. [참고 - 고용노동부 고시 2020-63,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 2023. 2. 13. 작업 위험성 평가 강화 방안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고용노동부 감독 방향이 위험성평가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에 대해 고민이 많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번에 쓰고자 하는 내용은 작업 위험성평가를 어떻게 강화를 해나가야할지에 대한 방향성 제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작업 위험성평가는 무엇인가? 작업 위험성평가는 작업에 대하여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여야하는 것은 위험성평가가 아니라 위험성평가의 대상입니다. 위험성평가의 대상이 작업인 경우 우리는 어떤 자료를 기준으로 위험성평가를 진행해야 할까요? 바로 작업 절차서 입니다. 작업 절차서에 대한 위험성평가 진행을 통하여 우리가 최초에 작성한 작업절차서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 2023. 1. 12. 이전 1 2 3 4 5 6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