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ni MBA/생산관리

Mini MBA 생산관리 (2) - 생산관리 정리

by 블랙브라민 2025. 4. 29.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1. 기업의 활동

기업의 활동을 정의한다고 하면 무언가를 만들어 파는 것이다. 즉, 만드는 것이 있어야 팔 수 있다. 여기에서 생산이란 제조업, 서비스업과 같이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생산관점에서의 기업 경쟁력은 기업은 무엇으로 경쟁하는가? 고객은 무엇때문에 선택하는가? 제품의 우수성때문인가? 잘 만들어진 제품인가?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은 어떻게하면 잘 만들 수 있을까? 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보자

 

2. 기업 경쟁 방법

기업경영의 두가지 관점이 있다고 한다. Exploitaion 과 Exploration 이다. Exploition 은 오래 성과 내는 것이며, Exploration 은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다.

2-1 오래 성과내는 방법

기업의 경쟁력은 시장에서 경쟁사 대비 낮은 원가, 높은 품질, 신속하고 빠른 납기 등 여러가지 운영을 잘해야 발생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기업 생산력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1) 저원가생산

(2) 고성능설계

(3) 일관된 품질

(4) 빠른 인도 시간

(5) 적시인도

(6) 개발속도

(7) 고객화

(8) 수량유연성

위와 같이 8가지의 여러가지 기업 생산력의 종류가 있는데, 모든 기업에서 모든걸 잘 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 기업에 맞는 특징을 찾아내야 한다.

 

2-1 가치 사슬의 이해 (Value Chain)

가치 사슬은 무엇인가, 가치 사실을 최적화를 어떻게 할 것인가, 가치 기반 전략은 어떻게 짤 것인가, 우리 제품의 가치 사슬을 어떻게 한눈에 볼것인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일단 고객이 우리 제품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의 가치 위치 (Value proposition)을 파악해야 한다. 무엇이 고유한 가치를 창출하는가? 기업의 Value proposition은 무엇인가, 기업은 어떻게 Value proposition을 만드는가? 경쟁사와 어떻게 차별화를 만들고 그러한 차별성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3. 미래 성과 (Exploration)

기업은 미래성과를 위해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만들어내야 한다. 오늘의 성공이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Crossover와 Convergence를 이해해야한다. 산업간의 경쟁이 무의미해지고, 자동차 산업이 전통적으로 기계산업이었으나 달라질 수 있으며, 향후 Connected, Autonomous, Shared, Electirc 등 여러가지 방면으로 변화할 수 있따. 그래서 자동차 회사는 고민해야한다. 누가 자동차를 스스로 움직이게 만들것인가? 자율이 되면 자동차 공간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 스타벅스의 사이렌오더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융합의 다양한 사례를 파악해야하고, 더 이상 전자제품 등의 각 기능의 우수성은 경쟁력이 안되며, 연계와 혁신을 통해 인간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낼 수 있어야하며, 플랫폼의 확보를 통해 다른 산업이 우리에게 들어오게 해야한다.

 

이와 같이 미래 성과를 위해서는 Convergence를 통한 다른 기업(산업)과의 협력이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고, Open Collaboration이 성장과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며, Supply Chain의 역할이 기존 협력업체와 같은 하창의 느낌이 아닌 새로운 성장과 혁신 외부와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것이다.

 

하지만, 우리 기업 내부에 답이 없다면, M&A와 같이 잘하는 사람하고 엮이고, 그런 회사를 사와서 사용할 줄도 알아야 한다.

 

4. SCM 이해 및 전략

SCM 이란 Supply Chain Management로 공급자에서 시작하여 구매, 제조, 분배, 유통을 거쳐 소비자에게 이르는 모든 재화 및 서비스 그리고 그것에 흐름에 수반되는 가치의 흐름을 통합하고 연계하여 전체적인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려는 개념이다.

 

SCM의 관점에서 보면 통합문류, 회사간의 관계, 정보 공유가 중요하며, 물리가 통합되면 전체적인 물적 유통이 최적화 되어 비용이 줄고, 회사간의 관계가 좋으면 구성원들과의 역학 관계를 통해 효율적으로 업무가 가능하며, 정보 공유가 잘되면 필요한 것을 재때에 받을 수 있다. 그래서 SCM은 각자 도생이 아니라 한 팀이 되어 움직여야 한다.

 

4-1 SCM 을 이해하여야 하는 이유

SCM을 이해하면 공급 사슬의 인과 관계 (품질,원가, 납기) 를 이해할 수 있으며 각 항목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할 방법을 찾을 수 있따.

 

4-2 기업 경쟁력 창출을 위한 SCM 전략 및 실행

4-3 제품 수요 특성에 따른 공급 체인 유형

Efficent SCM 과 Responsive SCM 그리고 기능적 제품과 혁신적 제품을 매칭 시켜 보면 Efficient SCM 은 기능적 제품에 적합하고, Responsive SCM은 혁신적 제품에 적합하다고 한다.

4-4 수요와 공급

SCM의 궁극적인 목표는 수요와 공급을 맞추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굉장히 어려버다. 그래서 수요를 예측하는 것보다는 공급 측면에서 신속한 대응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는 말이 많다. 

4-5 수요 전략

수요 변동과 수요의 불확실이 발생시키는 비용을 분석하여 제품 품절, 과대 재고, 진부, 긴 리드 타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재고가 많이 남는 것도 문제지만 팔수 있었는데 못파는 것이 더 큰 문제다. 그래서 수요 변동과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을까? 에 대한 고민을 많이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Damand Management, 소극적에서 적극적인 수요 관리 및 운영, 관리 가능한 원인을 찾아서 이유를 규명하고 향상 시키는 노력을 해야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원하는 시기에 사람들이 소비하는 문화를 직접 만들어 마케팅 하는 것이다.

 

4-6 공급 전략

공급 전략에서는 Sourcing 이 있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원, 기술, 인력들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것이며, 기업에서 이러한 Sourcing의 중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덜 적게 만들고, 더 많이 사는 Fable manufacturing company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공급원의 확보가 매우 중요해진다. 그래서 초우량 기업은 핵심역량과 아웃소싱이 합쳐저 만들어 질 수 있다. 애플 처럼 말이다. 

 

4-7 Value chain desgin decision

전체 가치 사슬 중 어느 부분을 우리가 하고, 어느 부분을 외주를 줄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외주를 준다면 누구에게 줄 것인지, 그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도 중요하다. 이에 따라 브랜드만 가지고 있는 기업이 있고, 브랜드에서 준 디자인을 만들어 주는 회사도 있다. 심지어 이러한 만들기만 하는 회사에서 브랜드 기업의 디자인도 만들어 내기도 한다.

 

5. SCM의 적용

Supply Chain Map 을 그려보면 우리의 SCM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3 B가 있는데, Box, Bucks, Bytes 다. 여기에서 Box는 제품의 물리적인 흐름이고, Bucks는 돈의 흐름이며, Bytes는 정보의 흐름이다. SCM에서 각 분야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이해하면 우리의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사적 관점과 시스템적으로 접근해야하며, 원인 결과 분석과 흐름 분석, 관계 분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5-1 원가 관리 전략

생산관리에서 원가는 매우 중요하다. 원가 관리의 능력은 매우 다양하나, 원가 절감이 한 기능 부서의 업무 또는 부서의 목표가 아니라 전사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원가를 계산하는 것은 숫자 이상의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숫자에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원가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Total Cost of Ownership 이라는 TCO (총 소요비용)을 알아야 한다고, 국민대학교 최정욱 교수님이 말씀하셨다. 구매 단가는 총원가에 일부에 불과하며 구매 의사 결정은 총원가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5-2 공급 사슬에서 정보 공유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 Replenishment) 즉, 협력업체와 원청이 서로 따로따로가 아니라 같이 계획하고, 예측하고, 보충한다는 것으로, 수요 예측 및 관리에 있어서 각자의 능력과 역할이 다르므로 서로 공유를 하자는 것이다. 공급 사슬에 있는 모든 구성원이 함께 필요한 모든 수요 예측과 그 수요를 기반으로 자원 소요 계획을 공동으로 전샂거인 관점에서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것이 중요한 것이 Bullwhip effect 가 수시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원청은 네모 모양의 노랑색을 요청하였으나, 이러한 정보가 아래로 내려갈 수록 다른 모양으로 다른 색으로 변화하는 효과이다. 또한 S&OP (Sales & Operations Planning) 이라는 판매와 생산 계획의 Single plan을 짜는 것도 중요하다. 현실에서는 쉽지 않지만 말이다.

 

5-3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1960년대 부터 시작되어, 자본주의의 승자 독식이 많은 부작용을 발생한 것에 유래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파괴, 노동 착취, 법 위반등 여러가지 사례가 확인되었고, 이렇게 지속되면 모두가 같이 망할 수 있따는 위험의식 속에서 발생하였다. 즉 기업의 사회의 구성원에는 책임이 있고, 이러한 책임에는 경재적, 법적, 환경적, 윤리적 책임이 있다. 하지만 기업에게서는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지만 절대적이지 않고, 다양한 기업에서 다양한 전략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시대가 오면서 SCR의 중요성은 더욱 강해지고 있고, 기업은 숨을 곳이 없어졌다.즉, 고객이 기업이 사회적으로 악해지면, 그 기업을 퇴출 시킬 수 있는 힘이 생겼고, 투자자도 투자를 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은 선택의 여지가 없어졌으며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할 수 밖에 없다. 과거 서구 기업들이 Low Cost 나라 아웃소싱을 한 이유는 표면적으로는 저렴한 비용이지만 사실상은 노예 계악과 같아지면서 인권, 생존권, 안전 무시와 착취가 발생해 고객이 분노하게된 이유가 되었다. 그래서 우리의 Supply Chain을 건강하게 만들 의무가 있고,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제품의 가치는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ESG가 발생하였다.

 

5-4 ESG 경영

ESG는 기업이 경영활동 하는데 있어서 지속가능성을 위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환경에는 기후변화, 자원고갈, 물, 공해, 삼림파괴 등이 있고, 사회에는 인권, 근로자 안전, 현대 노예, 아동 근로, 근로조건, 근로자 관계가 있고, 지배구조에는 뇌물 및 부패, 경영진 보상, 이사회 다양성 및 구조, 정치적 로비 및 기부, 조세 전략 등이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ESG를 고려한 TCO 관점으로 접근이 가능할까? ESG를 위해서 지금 비용을 지불할 것인지 나중에 지불할 것인지 어떤 판단이 옳은가? ESG도 RISK 관리의 차원으로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야한다.

 

 

 

 

'Mini MBA > 생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i MBA 생산 관리 (1) - SCM 관리  (0) 2025.04.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