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ni MBA/재무관리

Mini MBA 재무 (5) - 재무 안전성 지표와 유동성 지표

안녕하세요. 안전보건자료실 브라민입니다. 이 글은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있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참고하실분은 참고하셔도 됩니다.

 

1. 재무안전성지표와 유동성지표

회사를 평가하고자 할 때 흔히 많이 말하는 것이 부채비율이다. 부채비율은 자본대비 부채의 비율로 나타내며, 100% 이내에 들어가면 장기재무안전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전할지몰라도 단기적으로 위험한 회사도 있을 것이고, 다양한 환경에 있는 회사들이 많다. 그래서 우리는 종합적인 시각에서 재무안전성지표와 유동성지표를 만들어서 활용하여야 한다.

 

2. 부채비율, 유동비율, 당좌비율

단순하게 생각해보자. 우리가 5억짜리 아파트 (자산?)을 샀는데 아파트를 사기 위해 순자본(Equity) 1억과 30년 연납 3억의 부채와 신용 대출 (1년) 1억의 부채를 활용하여 구매했다고 하자. 근데 내가 1년에 벌 수 있는 돈이 5000만원이라고 가정한다면, 나는 1년안에 1억의 부채를 갚지 못해 나의 자산이 무너질 수 있게 된다.  이렇기에 우리는 장기재무안전성도 중요하지만 단기재무안전성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것이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다.

 

2-1 부채비율 = 부채/자본 (100% 미만일 때 장기재무안전성이 있다)

2-2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200% 초과일때 단기재무안전성이 있다)

2-3 당좌비율 = (유동자산-재고자산)/유동부채 (100% 초과일때 단기재무안전성이 있다)

 

3. 차입금의존도, 현금흐름보상비율(Flow), 현금흐름보상비율 (Stock)

3-1 차입금의존도 = (차입금+사채)/총자산

- 차입금의존도는 장기재무안전성을 볼 수 있으며, 50% 미만일때 안전하다.

3-2 현금흐름보상비율(Flow) = 영업활동현금흐름 (+이자비용)/(단기차입금+유동성장기차입금+유동성사채)(+이자비용)

- 현금흐름보상비율(Flow)는 단기재무안전성을 볼 수 있으며, 1보다 높으면 안전하다.

3-3 현금흐름보상비율(Stock) = (현금(성자산)+금융상품+금융자산)/(단기차입금+유동성장기차입금+유동성사채)

- 현금흐름보상비율(Stock) 은 유동성지표로, 1보다 높으면 안전하다.

 

4. 결론

우리는 관행적으로 부채비율 등에 매몰되지 않고, 다양한 유동성 지표를 통해 회사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섬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