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에 정말 많이 사용하고, 사고를 유발하는 크레인은 설치 시 안전인증을 받고, 3년 이내에 안전검사를 받아야 하며, 정기적으로 2년 마다 안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때, 안전검사 대상은 2ton 이상으로, 2ton 미만의 크레인은 안전검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크레인의 안전검사를 받기 전 이 것만큼을 봐야하는 주요 사항을 정리하였으니 업무에 참고하여 한 번에 합격하시기 바랍니다.
1. 크레인 주요 안전검사 항목
안전검사 고시에 따라 크레인의 안전검사 항목은 굉장히 많습니다. 그 내용들을 다 다루기에는 너무 어렵고, 반드시 확인해야하는 몇 가지 사항 골라서 설명하고자 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1 주요 안전검사 항목
(1) 정상 작동 여부 확인
전원이 들어오는지 확인합니다. 가끔 오래되서 정상작동되지 않아 검사 받으러 갔는데 켜보지도 못하고 불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크레인은 좌-우-상-하 등 정상적으로 이동하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2) 크레인이 레일을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는지 확인
크레인을 끝까지 움직였을 때 레일을 벗어나지 않는지 등 확인을 합니다.
(3)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 여부
크레인을 움직여보면서 비상정지장치를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정지하는지 확인합니다.
(4) 회전부 정상 상태 확인 (밸트 등)
회전부는 정상적으로 방호조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밸트 등은 끊어짐이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해당 검사를 할 때에는 반드시 비상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임의로 크레인을 조작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사고 예방)
2. 안전검사 비용
안전검사 비용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고시하고 있습니다.
크레인의 정격하중 별로 검사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산업안전보건법 >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보건법 제6조 - 근로자의 의무 (0) | 2021.01.04 |
---|---|
산업안전보건법 - 유해위험기계기구 산업용 로봇 안전검사 안내 (0) | 2021.01.04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검사(압력용기) (0) | 2021.01.04 |
산업안전보건법 제10조 -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의 공표 (0) | 2020.03.07 |
산업안전보건법 제 19조 - 안전보건관리 담당자 (0) | 2020.03.07 |
댓글